본문 바로가기

한자, 한문

임금과 신하 戀君之情연군지정 北面북면 ③신하(臣下)로서 임금을 섬김 =임금은 북쪽. 논어 위정. 임금은 "북극성"에 비유됨.南面남면 예전에 임금이 남쪽을 향(向)하여 앉아서 뭇 신하(臣下)의 조례(朝禮)를 받았던 데서, ①군주(君主)가 됨을 이르는 말 더보기
속담 말조심 말조심속담 주어작청 야어서청 (晝語雀聽 夜語鼠聽) 談虎虎至 談人人至 (담호호지 담인인지) 무족지언 비우천리 (無足之言 飛于千里) 더보기
도둑이 제 발 저린다 속담 도둑이 제 발 저린다 도지취나 궐족자마 (盜之就拿 厥足自麻) 도둑이 잡히는 곳에 나아가면 그 발이 저절로 저린다. [한자풀이] 盜(도) 도둑질하다,도적 就(취) 나아가다 拿(나) 잡다[= 拏(나)의 속자] 厥(궐) 그[=其(기)] 麻(마) 삼,저리다[=痲(마)] http://gojun.knu.ac.kr/search_read.html?orderbystr=date%20desc&id=1223&searchstr=&qu=&page=276&list_no=4762 더보기
한시 燕岩憶先兄[연암억선형] 燕岩憶先兄[연암억선형] 朴趾源[박지원] 我兄顔髮曾誰似[아형안발증수사]每憶先君看我兄[매억선군간아형]今日思兄何處見[금일사형하처견]自將巾袂映溪上[자장건매영계상] 先兄 선형 돌아가신 형 先君 선군 돌아가신 아버지 映 비칠 영 袂 소매 몌 더보기
중국 유학 역사 우리나라 유학생들 역사. 신라시대에 유학생들은 최초엔 승려들. 원효 의상. 그뒤로 약 100년뒤 최치원. 오월유학생 출신들. 한송정곡 송나라. 고려 사람들이 유학감. 원나라. 고려 사람들이 유학감. 명나라. 명나라가 농업중심. 상업 억제. 외국에 대해서도 배타적인 정책들. 조선에서 유학생들 받아달라고 해도 거절함. 청나라. 조선이 오랑캐 취급해서 안 보냄. 더보기
연경, 연행록, 조천록 燕연. 燕京연경. 중국의 북경. 청나라 사신으로 갔다 와서 남긴 견문록을 연행록이라고 함. 연경 = 북경 = 춘추전국시대 연나라 수도여서 청나라의 수도 별칭이 연경인 것. 중국 갔다 와도 과거에 명나라 갔다 오면 조천이라고 불렀다. 천자를 뵘. 명나라 갔다온 기록은 조천록 청나라 갔다온 기록은 연행록 명나라에 비해 청나라를 상대적으로 격하시킨 것임. 조천이라 절대 안하니까. 더보기